김오미 기자
농촌 아동 돌봄·양육 인프라 태부족교육 환경도 열악… 농가 이주 고민농가 “농촌 맞춤형 돌봄 정책 필요”
◇사진=강원일보 DB
농촌 아동의 돌봄과 양육을 지원할 기반이 극히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성군에서 3살 딸을 키우는 김모(33)씨는 매일 읍내에 있는 어린이집까지 차로 40분을 달려 아이를 맡긴다. 아이 돌봄 서비스를 신청했지만, 먼 거리 탓에 돌보미가 구해지지 않았다.
강원특별자치도 아이돌봄 광역거점기관인 원주 YMCA에 따르면 도내 ‘아이 돌봄 서비스’ 실이용가정수는 지난 7월말 기준 3,226 가구로 이 중 57.5%(1,854가구)는 춘천‧원주‧강릉에 집중됐다.
‘아이 돌봄 서비스는’ 정부가 만 12세 이하 아동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가정 방문 돌봄 서비스다. 부모의 양육 부담을 덜고자 만들어졌지만, 교통이 열악한 농촌으로는 돌봄 인력이 들어오지 못하는 실정이다.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농촌 여성들은 출산 직후부터 일과 육아를 병행하고 있다. 정선군에서 14개월 된 딸을 키우는 최모(32)씨는 출산 후 5개월만에 과수원에 나갔다.
최씨는 ”농번기에는 타 지역에 계신 시부모님께 아이를 맡기는데, 이마저도 어려울 때는 남편이 혼자 밭에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교육 환경도 열악했다. 문화센터부터 어린이집, 학원 등 교육·문화 시설이 없어 양육자들은 도시 이주를 고민했다. 영월군에서 11세, 8세 아이를 키우는 권모(36)씨는 “읍내에 있는 학원 대부분이 예체능 중심이고, 그마저도 학원차 운영이 안돼 부모가 아이의 등하원을 맡아야 한다”며 “첫째 아이가 초등하교 고학년에 접어들면서 이사를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돌봄 공백을 개선하지 못할 경우 농촌지역의 지속가능성 확보도 불가능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송연옥 강원자치도 여성농업인정책협의회장은 “농촌 여성들은 도시 중심의 출산‧육아 정책에서 소외되는 경우가 많다”며 “여성농업인들이 농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농촌 맞춤형 돌봄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