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보혁 기자
전국 단위 다문화유권자들 모인 ‘다문화유권자전국연대’투표 참여 독려·다문화 정책 반영 촉구 기자회견 개최

이주 여성 등 국내 거주 유권자, 이른바 ‘다문화유권자’들이 오는 6·3대선을 앞두고 정치권에 이주 아동·여성의 기본 인권향상을 위한 법적, 제도적 기반 마련을 요청했다.
서울YMCA, 한국이주여성연합 등 전국 21개 단체로 구성된 다문화유권자전국연대는 ‘다문화 공존, 함께 만드는 더 큰 대한민국’을 주제로 기자회견을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
다문화유권자전국연대에 따르면 전날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내 국회박물관에서 연 기자회견에서는 다양한 이주 배경을 지닌 다문화유권자들이 직접 나서 전국 각지 다문화유권자와 국민에게 투표 참여를 독려했다.
다문화유권자전국연대에 속한 김혜련 결혼이민자여성평등찾기 대표, 이경숙 이주여성유권자연맹 회장, 안순화 생각나무BB센터 대표, 이춘희 함께마을 대표, 이례사 톡투미 대표 등은 기자회견을 통해 다문화유권자가 겪는 교육, 의료, 고용, 복지 분야에서의 정책 사각지대 문제를 해소해달라는 뜻을 정치권에 전했다. 또 한국사회와 다문화·이주민 가정 간 평화로운 공존을 위해 정부 차원의 통합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일에도 나서 달라고 했다.
이들은 “이주 배경 다문화유권자들 또한 엄연한 국민이기 때문에, 민주시민으로서 당당한 권리를 행사할 주체로 받아들여야 한다”며 “건강한 다문화사회를 만든다는 것은 비단 다문화 가족들의 권익을 증진하는 것만이 아니라 한국 사회가 얼마나 더 민주적이고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가에 관한 문제이며 건강한 사회가 되는 토대로 작용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특히 “사회적 약자에 대한 정책공약이 거의 부재한 채 치러지는 이번 21대 대통령 선거 국면에서 다문화유권자 당사자들이 자신들이 원하는 공약을 들고 나서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이번 대통령 선거에서 다문화사회에 맞는 이해를 가진 후보, 다문화사회 정착에 필요한 좋은 정책을 제안하는 후보들에게 적극적으로 투표할 것이다”고 전했다. 이어 “다문화유권자들이 힘을 합해 우리가 원하는 대통령, 지역대표를 뽑는 민주적 행동을 통해 우리가 사는 지역사회가 조화롭고 다양성이 존중받는 시민사회로 바뀌어나갈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덧붙였다.
주건일 서울YMCA 시민사회운동부장은 “민주주의 사회에서 그 사회의 민주주의가 얼마나 성숙했는가를 가늠하는 척도는 바로, 그 사회 속에서 소수를 점하고 있는 사람들을 그 사회가 어떻게 대우하는가에서 결정된다”며 “2010년 이후 서울YMCA와 아시안프렌즈, 지구촌학교, 톡투미, 이주여성연합 등을 중심으로 다문화유권자들이 주장해온 의제들이 아주 일부 실현됐지만, 15년이 지난 지금도 실현해야 할 과제가 많은 현실은, 아직도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더욱 진보해야 함을 보여 준다”고 부연했다.
다문화유권자전국연대는 혼인을 통한 귀화자와 그 가족 등 다문화유권자가 40만 명을 넘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에 다문화유권자들이 민주시민으로서 정당한 권리를 행사할 수 있도록 조직적인 움직임을 펼쳐 나가려 한다. 먼저 이번 대선 기간 다문화 관련 정책 이행 여부를 살필 ‘감시단’을 구성해 정부가 다문화 정책을 제대로 실천하고 있는지 등을 계속 지켜볼 계획이다. 특히 이번 21대 대선 기간 연대의 외연을 더 폭넓게 확장해 나가며 내년 지방선거에서도 다문화 관련 정책을 제안하는 등 한국사회 속 다문화유권자 기구로 자리매김해 나갈 뜻을 밝혔다.
임보혁 기자 bossem@kmib.co.kr
[출처] - 국민일보
[원본링크] -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28166044&code=61221111&cp=n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