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삼섭 기자
광주시민단체협의회 공단 규탄 기자회견에
수의계약 변경 사유 등 해명자료 내며 대응
광주시민단체협의회가 8일 오전 광주 서구 광주시청사 앞에서 광주환경공단이 공단 내 비위 의혹 제기에 대해 고소한 데 대해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광주환경공단이 지역 시민단체인 참여자치21이 제기한 의혹들에 대해 8일 입장문을 내고 재차 반박했다. 참여자치21을 '허위사실 유포'로 고소한 후 지역의 다른 시민단체들이 참여자치21과 연대해 공세에 나서는 등 시민단체와 광주시 산하기관의 '진실게임'이 확전하고 있는 모습이다.
광주환경공단과 노동조합은 이날 공동 입장문을 통해 "참여자치21를 비롯한 광주시민단체협의회가 제기한 의혹은 사실무근이다"고 밝혔다. 광주환경공단은 입장문에서 시민단체들이 제기한 내부 인사·계약 비위 의혹 등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우선 시민단체가 이사장이 바뀐 후 수의계약 업체가 뒤바뀌었다는 의혹에 대해, "경영지원처에서 일방적으로 계약을 바꾸는 일은 있을 수 없다"면서 지난해 1월부터 올해 10월까지 체결한 전체 계약 2천700여건 중 이미 체결한 사업 중 업체가 변경된 계약 4건의 사유를 공개했다. 4건의 사유는 ▲면허 영업범위의 부적합 ▲계약업체 상호 변경 ▲사업자 간 양도·양수 계약 2건이다.
광주환경공단은 "참여자치21은 기초적인 계약 관련 상식 부족과 사실관계조차 확인하지 않은 무성의한 태도로 보여진다"고 비판했다.
인사 의혹을 두고도 광주환경공단은 "광주시 조직진단과 경영효율화 방침에 따라 적체된 인사를 적기에 실시한 것이다"며 "그동안 이사장 공백으로 인해 실시하지 못한 인사를 해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광주환경공단은 의혹이 제기된 변경계약 관련 증빙자료를 공단 대회의실에 9일 오전 11시에 공개하고 관심 있는 시민단체, 기자, 일반시민 등이 열람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등 어떤 의혹도 남기지 않겠다고 밝혔다.
광주환경공단은 "본래 역할에 따라 공익문제를 제기하는 시민단체의 취지는 존중하나, 사실관계는 분명히 밝혀야 한다"며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정치적 공세는 반드시 지양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참여자치21과 광주경실련, 광주YMCA 등 광주지역 시민단체 연대체인 광주시민단체협의회는 이날 오전 광주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환경공단이 지난 2일 참여자치21을 허위사실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경찰에 고소한 사실을 규탄했다.
이 단체는 "광주환경공단은 시민단체의 환경공단 부정 의혹 제기 성명에 대해 고발 조치를 하는 것이 아니라 감사위원회의 감사권을 발동시켜 사실관계를 확인해야 했다"며 "공적 기관은 비판과 의혹 제기를 감수해야 하고 비판과 의혹에 대해서는 해명과 재반박을 통해 이를 극복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특히 "공적 관심사에 대한 표현의 자유 보장이 폭넓게 인정돼야 한다는 것이 대법원 판례"라면서 "이렇게까지 과하게 대응하는 것 자체가 문제를 숨기기 위한 과장된 대처는 아닌지 의심하게 한다"라고 덧붙였다.
이삼섭기자 seobi@md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