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찬구 편집주간
8월 23일 서울 종로구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간토학살100주기 추도사업추진위원회 회원들이 ‘간토학살 100주기, 일본은 간토학살 국가책임 인정하라’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간토학살이란 세칭 관동대지진시 일본인에 의한 조선인 학살사건을 말한다. (사진 / 뉴시스)
9월 1일 관동대지진으로 발생한 ‘간토학살100주기’를 앞두고 종교 사회단체들이 나서 오늘(28일) 오후 6시 스페이스 살림 다목적홀(동작구 노량진로 10)에서 추모문화제를 갖는다,
간토학살은 1923년 관동(關東)대지진 발생 당시 일본 정부와 군경에 의해 약 6000여 명의 조선인이 무참히 학살당한 사건을 말한다. 최대 2만3천명이 학살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1923년 9월 1일 오전 11시 58분 가나가와현[神奈川縣] 중부에서 사가미만 동부, 스호반도에 걸친 일대를 진원지로 한 대지진이 간토지방을 엄습하였다. 지진의 강도는 최대 진도 매그니튜드 7.9이었다.
마침 점심시간이었기 때문에 지진이 일어나면서 각지에서 대화재가 발생하여 일본의 심장부였던 게이힌[京濱] 지역은 순식간에 큰 타격을 받았으며, 피해는 남간토 일대를 중심으로 서쪽으로 시즈오카·야마나시 두 현의 동부에까지 미쳤다.
이런 와중에서 대지진에 대해 조선인 폭동설을 조작 유포시켜 각지에 죽창과 몽둥이로 무장시킨 자경단(自警團)을 조직하여 수많은 조선인들을 무차별 학살하였다.
올해 간토학살100주기를 맞이하여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독립유공자유족회, 민족문제연구소, 한국YMCA전국연맹,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흥사단 등 많은 단체들이 함께 “100년의 통곡, 산산히 부서진 이름이여”를 주제로 간토학살100주기 추도문화제를 개최한다.
추도문화제를 통해 간토학살 희생자들을 추도하며, 일본정부의 국가책임을 묻고, 나아가 한일간 역사정의를 바로 세우며, 평화로운 한일관계를 촉구할 예정이다. 100년의 세월이 지나도록 학살의 진상은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고, 일본 정부는 학살의 진상규명과 사죄, 배상요구를 거부하고 있다.
한편 작년에 시민사회 종교단체들이 모여 결성한 ‘간토학살100주기추도사업추진위’는 그동안 ▲간토대학살진상규명 및 피해자 명예회복을 위한 특별법 제정 ▲간토제노사이드 국제학술회의 개최 ▲100주기 한국 추도문화제 개최 ▲일본 현지 추도행사 참가 등을 주요 사업으로 추진해 오고 있다.
출처 : 시사포커스(http://www.sisafocu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