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종호 기자

(창원=연합뉴스) 정종호 기자 = 경남 창원지역 시민단체인 마산YMCA는 13일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마산만 인공섬 관련 사업 비용은 정부의 잘못된 항만정책에서 비롯됐으나, 해양수산부는 책임을 회피하고 창원시는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지난 7월 마산만 인공섬에 대한 공공개발과 정부 재정지원을 촉구하는 공식 민원과 정책 제안서를 국정기획위원회에 제출한 이후 해양수산부와 창원시가 단체 측에 회신한 자료를 공개하면서 "두 기관 답변 모두 구체성이 없고, 책임 떠넘기기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 단체가 공개한 자료에서 해수부는 '사업은 창원시가 추진하는 도시개발사업이며, 재정 지원 요청은 창원시가 해수부 예산을 총괄하고 있는 담당 부서에 요청하고 협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답했다.
창원시는 '국비 지원 없이 시비로 사업 추진 중으로, 재원 확보에 어려움이 있지만 국비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회신했다.
마산YMCA는 "마산만 인공섬은 1997년 해수부가 허위·조작된 예측 물동량을 근거로 추진한 마산 가포신항 사업의 결과물로, 2012년 이후 창원시는 부채로 매달 4억원이 넘는 이자를 시민 세금으로 지불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는 잘못을 인정하고 책임 있는 재정지원 원칙을 세워야 하고, 국비 확보와 관련한 구체적 성과를 보이지 못하는 창원시도 정부를 상대로 적극적인 국비 요청과 정치적 행동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산만에 조성된 인공섬은 가포신항 항로 공사에서 발생한 준설토로 매립된 땅으로 전체 면적은 64만2천㎡(약 19만4천평)다.
아파트와 관광문화복합시설, 상업시설 등을 건설하는 프로젝트인 마산해양신도시 사업이 인공섬에 추진되고 있지만, 민간개발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 발생한 소송 등으로 사업은 지지부진하다.

.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