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일 기자
대전인권비상행동 관계자들이 26일 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장우 시장의 인권센터 폐쇄 결정을 규탄하고 있다. (대전인권비상행동 제공) /뉴스1
대전시가 인권조례에 근거해 운영 중인 인권센터 폐쇄를 결정해 논란이 일고 있다.
26일 <뉴스1> 취재 결과, 민선 8기 출범 후 대전YMCA에서 한국정직운동본부로 인권센터 수탁기관을 교체한 대전시는 ‘인권전담부서(인권증진팀) 및 국가인권위원회와 업무가 중복되고, 예산 투입 대비 효과가 미미하다’라는 점을 들어 인권센터를 올해까지 운영하고 폐쇄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하지만 성소수자 인권 보호에 반대 입장을 표명해 온 보수 기독교계 단체인 한국정직운동본부를 ‘반인권단체’로 규정, 이들의 인권기구 장악에 대응하고자 결성된 ‘대전인권비상행동’은 국민의힘 소속인 이장우 시장을 향해 “적반하장식으로 인권센터 폐쇄를 결정했다”며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26일 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인권조례를 근거로 시의회 승인을 거쳐 2017년 9월 설립돼 6년간 운영된 대전시 인권센터를 인권위와의 업무 중복을 이유로 폐쇄한다는 건 ‘대한민국 정부가 있어 지방정부는 필요 없다’라는 주장과 같다. 그런 논리라면 시장실부터 먼저 없애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이 시장은 아무런 대책 없이 인권센터 폐쇄를 결정, 지방인권보장체계를 무너뜨리려 하고 있다. 최소한 인권조례에 명시돼 있는 ‘시장의 인권 증진 책무’에 따른 기본적인 계획을 내놓으라”며 이 시장의 반인권행정을 규탄했다.
사실 이 시장 취임 후 인권센터 수탁기관 선정과 존폐를 놓고 여러 논란이 촉발된 배경엔 보수진영과 진보진영 간 첨예한 갈등이 자리하고 있다.
국민의힘과 보수 기독교계는 더불어민주당 시장 재임 시 활성화된 인권센터의 진보적 인권 가치에 거부감을 표출해왔고, 인권센터가 민주당의 전위기구 역햘을 해왔다는 문제의식을 견지해 왔다.
시 산하 인권기구에 대한 이러한 곱지 않은 시선이 결국 폐쇄 결정으로 이어지며 이념 논쟁이 더욱 격화되는 양상을 띠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