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프 “질의 많고 허위공약 남발 우려”
일부 단체, 특정정당 연대로 답변 꺼려
마산YMCA 질의, 60명 중 26명 답변
“질의는 후보 검증·선거 참여 수단
지역민 묻는 질문에 성실히 답해야”
선거 때마다 시민사회단체가 후보자들에게 정책질의서를 요청하지만 일부 후보자는 답변을 하지 않는 상황이 반복된다. 지역민을 대표하기 위해 출마한 후보자들은 왜 지역민들의 질의에 답하지 않는 걸까?
마산YMCA는 26일 창원시장·시의원 후보에게 제안한 ‘생활밀착형 5대 정책’ 질의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답변서를 보낸 후보는 창원시장 후보 2명 중 1명, 시의원 후보 58명 중 25명에 불과했다. 후보자들의 정책질의서 미답변은 과거부터 반복돼 왔다. 2018년 7회 지방선거 당시 마산YMCA가 환경단체와 함께 진행한 정책질의에는 시장 후보 6명 중 5명이 답했고, 시의원 후보 80명 중 23명만 답했다. 2014년 6회 지선 당시에는 시장 후보 4명은 모두 답했지만 시의원 후보는 82명 중 30명만 답했다.
투표./경남신문 자료사진/
올해 창원시장 후보자를 대상으로 한 정책질의 중 결과가 발표된 것은 총 9건이다. 마산YMCA를 포함해 경남여성단체연합, 민주노총 공공노조 경남본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저지 경남운동본부, 금속노조 경남지부, 창원특례시공무원노조, 창원물생명시민연대, 경남먹거리연대, 창원지역발전협의회 등이다. 답변은 후보별로 극명하게 갈렸다. 허성무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모두 답변한 반면 홍남표 국민의힘 후보는 모두 답하지 않았다.
도지사 후보를 대상으로는 경남여성단체연합, 민주노총 공공연대노조 경남본부, CPTPP 저지 경남운동본부, 경남먹거리연대와 경남도청공무원노조가 정책질의를 진행했는데, 양문석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5건 중 4건, 박완수 국민의힘 후보는 5건 중 3건 답했고, 여영국 정의당 후보는 5건 모두 답변을, 최진석 무소속 후보는 4건(공공연대 측 질의 안함) 중 1건만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거기간은 시민이 지역의 주인이 되는 유일한 순간이다. 시민사회단체는 이 기간 유권자들이 후보자들에게 정책을 질의하고 후보자가 이를 성실히 답하는 성숙한 문화가 자리 잡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조정림 마산YMCA 정책기획국장은 “정책질의는 후보자 검증의 역할과 함께 유권자들이 선거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이 되기도 한다”라며 “후보자들이 만든 정책과 공약으로도 판단하지만 시민들이 직접 묻는 질문에 어떻게 대답하는지도 듣고 싶어 한다”고 정책질의의 중요성을 설명했다. 이와 관련 도내 정당 후보자 캠프 측은 시민사회단체로부터 받는 정책질의서의 중요성을 인지한다면서도 업무량이 많아 모두 성실히 대응하기 어렵고, 자칫 허위공약 남발이 될 수도 있어 난감한 상황이 많다고 속사정을 전했다.
양문석 도지사 후보 캠프 관계자는 “각종 단체에서 정책질의서가 많이 들어오는 상황이다. 놓치지 않고 모든 곳에 답변을 드리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최근 소통 과정의 문제로 질의서를 전달받지 못한 적이 한 차례 있었는데 언론보도자료에 ‘답변거부’로 표기가 돼 있었다. 해당 단체에 거부한 게 아니라고 따로 이야기를 드리고 늦었지만 답변서를 보냈다고 말했다.
홍남표 후보 캠프 측은 “단체들은 각 분야에서 시민들을 대표하는 분들이기에 앞으로 함께해야 할 동반자라고 인식하고 있다”면서도 “지지자 확보에는 좋을 수도 있겠지만 향후 시정 활동에 영향이 미칠 수 있는 민감한 내용이 담긴 질의서에 답변하는 것에 대해 내부적으로 의견이 많아 계속 논의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어 “현재까지 20건 이상의 정책질의가 들어왔다. 당선이 된다면 단체들의 입장을 반영할 기회를 충분히 갖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정책질의를 하는 단체들이 특정 정당과 과거부터 지지선언을 하는 등 연대 되어 있어 반대 정당에서 답변을 꺼리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나온다. 실제로 경남여성단체연합은 2018년 허성무 후보 지지선언을 했으며, 경남 노동·농민계 또한 진보진영 정당 지지선언을 이어가고 있다.
김용락 기자 rock@knnews.co.kr